프록시 서버 (proxy server)
-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프로그램.
Reference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4%84%EB%A1%9D%EC%8B%9C_%EC%84%9C%EB%B2%84
프록시 서버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도식화한 프록시 서버. 두 컴퓨터 사이에 끼어 있는 컴퓨터가 바로 프록시 서버이다. 프록시 서버(영어: proxy server 프록시 서버[*])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
ko.wikipedia.org
DNS (Domain Name System)
- 숫자로 된 식별번호(IP)를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단어로 변환시킨 것
- 전화번호부에 비유
Reference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F%84%EB%A9%94%EC%9D%B8_%EB%84%A4%EC%9E%84_%EC%8B%9C%EC%8A%A4%ED%85%9C
도메인 네임 시스템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도메인 네임 시스템(Domain Name System, DNS)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 특정 컴퓨터(또는 네트워크로
ko.wikipedia.org
SSH (Secure SHell)
-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게 해주는 응용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
-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한다.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
-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.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.
프로토콜
-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.
바인딩
- 프로그래밍 언어가 해당 언어에 네이티브하지 않는 외부 라이브러리나 운영 체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글루 코드를 제공하는 API이다.
FTP(File Transfer Protocol)
- FTP은 TCP/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.
'개발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tgre와 nodejs(Express.js) 연동 - 1 (연결확인 및 .env 설정) (0) | 2021.11.15 |
---|---|
환경변수를 관리하는 .env 설정 하는 방법 (node.js) (0) | 2021.11.05 |
API nodejs 에서 사용하기 (feat.postman) (1) | 2021.10.25 |
[nodeJS] 게시판 홀따옴표, 쌍따옴표 및 각종 특수문자 처리 (0) | 2021.08.02 |
Express - res.json vs res.send (0) | 2021.07.21 |